[Baekjoon] 2231번 분해합
시간 제한 | 메모리 제한 | 정답 비율 |
---|---|---|
2 초 | 192 MB | 45.864% |
문제
어떤 자연수 N이 있을 때, 그 자연수 N의 분해합은 N과 N을 이루는 각 자리수의 합을 의미한다. 어떤 자연수 M의 분해합이 N인 경우, M을 N의 생성자라 한다. 예를 들어, 245의 분해합은 256(=245+2+4+5)이 된다. 따라서 245는 256의 생성자가 된다. 물론, 어떤 자연수의 경우에는 생성자가 없을 수도 있다. 반대로, 생성자가 여러 개인 자연수도 있을 수 있다.
자연수 N이 주어졌을 때, N의 가장 작은 생성자를 구해내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자연수 N(1 ≤ N ≤ 1,000,000)이 주어진다.
출력
첫째 줄에 답을 출력한다. 생성자가 없는 경우에는 0을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216
예제 출력 1
198
알고리즘 분류
문제 풀이
BruteForce 알고리즘으로 푼 문제이다.
분해합의 생성자는 분해합 수보다 크지 않기 때문에 생성자 만큼만 for문을 돌면서 분해합의 정의를 만족하는 경우 해당 인덱스를 반환하면 된다.
이때 함수를 만들어 반환하는 방식으로 한 이유는 분해합을 만족하는 경우 중 최소값을 출력해야 하기 때문에 return하지 않으면 최소값을 찾지 못하기 때문이다.
- 제출 코드 1: 실패
처음에 한 자릿수의 분해합은 어떻게 나타내야 될지 몰라서 한 자릿수의 경우만 따로 빼놓아서 그 값을 두 배 시키는 과정을 진행하였으나 실패를 했다.
나머지 코드는 맞는 것 같았기에 이를 혹시 하여 지워보았더니 성공하였다. 자세한 코드는 성공 풀이에서 설명하겠다.
def solution(n):
if n < 10:
return 2 * n
else:
for i in range(10, n):
a = list(map(int, str(i)))
if n == (sum(a) + int(i)):
return i
return 0
n = int(input())
result = solution(n)
print(result)
- 제출 코드2: 성공
solution 함수를 만들어 문제가 원하는 입력 값을 인자(n)로 넘겨주고 해당 인자만큼 반복문을 돌린다. 반복문 내용은 다음과 같다.
1부터 n까지 숫자에 대하여 for문을 돌면서 해당 숫자를 자리 별로 리스트로 변환하여 준다.
- 예를 들어 i == 123 → [1, 2, 3]
그러고 나서, n값과 현재의 분해합이 동일하면 즉시 그 값을 반환한다.
만약 반환되는 값이 없이 반복문이 종료되면 0을 반환한다.
def solution(n):
for i in range(1, n):
a = list(map(int, str(i)))
if n == (sum(a) + int(i)):
return i
return 0
n = int(input())
result = solution(n)
print(result)
댓글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