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dejs] express 모듈로 서버 구축
이번 시간엔 node.js에서 가장 대표적인 웹 프레임워크 중 하나인 express.js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Express란?
Express.js는 Node.js를 위한 빠르고 개방적이고 간결한 웹 프레임워크이며, python의 Django, Java의 Sprint bott와 같은 프레임워크들 처럼 javascript에서 사용하는 웹 프레임워크 중 하나이다.
또한 여러 코어 등을 비롯해 노드 웹 프레임워크 중에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 가장 많이 쓰인다.
물론 express만이 답이다! 라는 것은 아니지만 express가 가장 대표적이기 때문에 express의 사용법만 잘 익혀 놓더라도 노드 기반의 다른 웹 프레임워크로 넘어가더라도 큰 무리 없이 적응 할 수 있을 것이다.
**express? 왜? **
Express.js 프레임워크를 사용해야 하는 이유는 웹서버를 구현할 때 이미 만들어진 것을 가져다 쓰기 때문에 코드의 양을 엄청나게 줄여줄 수 있고 이러한 장점으로 인해 코드의 가독성이 높아져 추후에 코드 유지보수를 쉽게 할 수 있게 하여 안전하고 튼튼한 웹서버를 만들어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npm(노드 패키지 매니저)를 통해 간단하게 설치가 가능하고 이를 통합합 서버 프로그램을 구현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Node.js에서 가장 많이 이용하는 템플릿 엔진인 EJS(Embedded JavaScript)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만들어 놓았던 EJS 템플릿을 그대로 사용 가능하다는 장점도 있기 때문에 express.js를 사용한다.
그렇다면 바로 코드로 뛰어 들어가 express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사전 세팅
먼저 express를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패키지들을 설치해 주어야 한다.
-
가장 먼저 node.js 공식 홈페이지에서 원하는 버전의 node를 설치해 준다.
-
npm(Node Package Manager)라는 것을 통해 노드로 만든 패키지의 관리를 더욱 편하게 할 수 있다.
-
npm init
-
프로젝트를 진행할 폴더를 만들고 해당 폴더 위에서 위와 같은 명령어를 입력한다.(설치는 노드를 설치할 때 달려왔기 때문에 별도의 설치는 필요없음)
-
그러면 package.json 파일이 생겼을 것이다.
- 앞으로 설치하는 모듈은 모두 이곳에 명시될 것이고 원하는 scripts 를 이곳에서 만들어 사용할 수도 있다.
-
-
express 모듈 깔기
-
npm install express
-
설치 된 모듈이 제대로 설치 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선 프로젝트 디렉터리 위치에 package.json 파일에 dependencies 필드로 명시되었는 지를 확인하면 된다.
- 이 과정을 통해 node_modules 폴더가 생성되고 이 안에는 실제로 설치한 모듈들이 저장되어 관리 되는 곳이라고 보면 된다.
-
- @types/express 깔기
npm install --save-dev @types/express
타입 도움을 받기 위해 사용하는 타입스크립트를 지원하는 express는 실제 프로덕션 서버에 존재할 필요가 없는 패키지 이기 때문에 --save-dev
와 같은 옵션을 추가하여 install한다.
추가적으로 eslint, prettier, ts-node 등이 깔려 있어야 한다.(이 과정의 설명은 생략 함.)
세상에서 제일 간단한 웹 서버 구축해 보기
설치가 완료되었으면 이제 express 모듈을 사용할 수 있다.
const express = require('express')
위와 같은 코드는 타입스크립트에 의해 @types/express 모듈을 가져와주도록 하여 express 변수에 저장한다.
원래는 express를 사용하지 않았다면 nodejs의 내장 모듈인 http를 사용하여 구현했을 것인데 기본적인 골격은 http를 사용하는 것과 그렇게 차이가 나지 않는다.
// @ts-check
/* eslint-disable no-console */
const express = require('express')
const app = express()
const PORT = 5000
app.use('/', (req, res) => {
res.send('Hello express!')
})
app.listen(PORT, () => {
console.log(`The Express server is listening at port: ${PORT}`)
})
위 코드는 src/ 디렉터리 밑에 있는 main.js 파일을 만들어 해당 파일에 내용을 작성한 것이다.
위 코드의 특징을 하나하나 뜯어보자면 다음과 같다.
- ts-check: vscode에서 타입스크립트를 사용하기 위해 작성하는 주석으로 자바 스크립트에서 TypeScript 분석을 켜려면 vs code 에디터상에서 @ts-check라는 텍스트가 있는 주석을 파일의 시작 부분에 추가하기만하면 된다. 그런 다음 파일의 아무 곳에나 TypeScript의 JSDoc 유형의 주석을 추가하면 된다.
- require를 통해 express 모듈을 가져와서 app이라는 변수를 통해 이 모듈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고 가장 간단하게 서버를 열기 위해선 listen을 통해 PORT 번호와 서버 측에서 실행할 콜백 함수를 지정하면 서버가 실행이 된다.
- require에 대해 자세히 알고 싶다면 전 포스트 http 이곳을 참고하길 바란다.
- app.use 부분은 가장 간단한 기능을 추가해 보기 위해 사용한 것으로 서버에 접속한 클라이언트 측에 Hello express 라는 문자열을 보내주는 역할을 한다.
클라이언트 입장에서 해당 서버를 접속해야 서버가 제대로 동작하는지 아는데 이를 위해선 다음과 같은 방법들이 있다.
- httpie
- python 으로 개발된 콘솔용 http client 유틸리티로 curl 대신 http 개발 및 디버깅 용도로 사용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 콘솔을 통해 다운 받을 수 있다.
- postman
- https://www.postman.com/
- 위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다운 받을 수 있고 이를 사용하면 대상 URL에 요청할 메소드를 지정할 수 있고, 호출에 필요한 파라미터의 전달 방식을 설정할 수 있으며, 결과 또한 빠르게 확인이 가능하다.
- 주소입력(로컬)
- 로컬 서버를 구축한 경우 localhost:포트번호 와 같이 아무 웹브라우저에서 해당 주소를 입력하여 서버를 확인하는 경우이다.
세 경우 중에서 첫 번째와 두 번째 방식을 사용하는 것을 추천하며 서버의 크기가 커질 수록 혹은 협업을 통한 프로젝트를 진행한다면 API를 만들었을 때 postman을 통해 더욱 쉽고 빠르게 확인이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이렇게 가장 간단한 웹서버를 구현해 보았고 이제 여기에 기능을 하나하나 추가해 보면서 조금 더 구체적인 부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nodemon
서버의 API를 만들다 보면 수정 사항이 잦을 것인데 서버에 수정사항이 제때 제때 반영되지 않는다면 서버를 계속 껐다 켰다 하면서 확인하는 번거로운 과정을 거쳐야 할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저장만 하면 바로 반영이 되게 해 주는 모듈인 nodemon을 설치하여 이를 해결하도록 하자.
npm install --save-dev nodemon
nodemon을 설치하고 이를 통해 서버를 키기 위해선 nodemon src/main.js
와 같은 명령어를 입력하면 되는데 이는 꽤 긴 명령어 이기 때문에 간결하게 npm run server
와 같이 입력하면 해당 기능이 수행되도록 package.json의 scripts 필드에 server 요소로 추가를 해 주도록 하자.
{
"scripts": {
"server": "nodemon src/main.js"
},
...
}
middleware
express는 http 기본 모듈을 활용할 때보다 더 빠르게 작업을 할 수 있는데 이것들을 위한 일종의 preset들을 제공하고 있는 것이고 자주 하는 행동들에 대해서 미리 만들어져 있는 기능이 있고 이를 middleware라고 하며 이것만 잘 사용하면 금방금방 여러 요청에 대응할 수 있으며 다양한 시나리오에도 올바르게 대처할 수 있게 된다.
middleware란?
middleware는 express가 실행되면서 어떤 request(통칭: req)가 들어왔을 때 req가 응답이 되어 나갈 때까지 거치게 되는 모든 함수들을 뜻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정리하자면 express는 여러 함수들을 거치는 형태이고 각 함수 하나하나를 중간에 거치기 때문에 middleware인 것이다.
- 즉, 클라이언트가 요청을 하고, 서버가 거기에 응답하는 과정 중간에서 뚝딱뚝딱 여러 가지 일을 해 주는 함수라고 할 수 있다.
사용자가 웹사이트에 접속하면 index.js가 실행되고, route(경로)를 살펴볼 것이다. 그 후에는 콜백 함수를 실행할텐데 이처럼 중간에 실행되는 함수가 middleware이다.
한 번 다음과 같은 코드를 앞선 main.js에 추가적으로 작성해 보자.
app.use('/', (req, res) => {
console.log('Middleware 1')
res.send('Hello express!')
})
app.use((req, res) => {
console.log('Middleware 2')
res.send('Hello, express!')
})
이 코드를 작성하고 저장을 한 뒤에 다시 서버에 접속해 보면 서버 측 콘솔 창에는 Middleware 2
만 띄워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next() 함수
middleware는 받는 인자가 정해져 있다.
- req, res와 더불어 next가 존재한다.
노드는 대부분의 작업이 비동기로 처리된다.
그렇기 때문에 언제 어떤 작업이 끝날 지를 정확히 알지 못한다. 그래서 작업이 끝났을 때 명시적으로 알려주어야 하는 부분이 대부분인데 middleware 안에서는 굉장히 다양한 비동기 작업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이 middleware가 끝나고 나서 다음 middleware한테 실행을 넘기기 위해서 next() 함수를 사용한다.
그래서 앞선 코드가 원하는대로 동작하게끔 하기 위해선 다음과 같이 수정을 하면 된다.
app.use('/', (req, res, next) => {
console.log('Middleware 1')
next()
})
app.use((req, res) => {
console.log('Middleware 2')
res.send('Hello, express!')
})
그러면 올바르게 서버 측에 Middleware1 과 Middleware2가 순서대로 출력이 되는 것을 볼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여기서 next()를 뺀다면 클라이언트 측에서는 무한 로딩에 걸리게 되는데 그 이유는 middleware가 언제 끝나는 지는 next()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기 때문에 next()가 호출되기 전에는 middleware의 실행이 끝나지 않았다고 보는 것이기 때문이다.
- 그래서 둘 중 하나가 time out이 날 때까지는 계속 기다리게 되는 것이다.
추가적으로 위 코드에서 res.send와 더불어 next()가 필요하지 않았던 이유는 res.send나 res.json의 경우 모든 response stream에 대한 writing 과정이 끝나고 나서 response를 보내야 하기 때문에 별도의 next()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response를 보내고 나서 추가적인 processing을 하고 싶다면 반드시 next() 함수를 호출해야 한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
next() 함수를 호출하면 앱 내의 그 다음 middleware 함수(콜백 함수)가 호출된다.
- 원래는 하나의 middleware(콜백 함수)만 실행하고 멈추게 된다.
우리는 원하는 만큼 미들웨어 함수를 만들어서 여러 가지를 해볼 수 있다. 예컨데, 유저의 로그인 여부를 체크한다거나, 접속에 대한 로그를 기록한다던가와 같은 것들 말이다.
그런데 특정 함수(아래 예제에서 betweenHome)는 특정 화면에서만 동작하는데, 예를 들어 /profile로 접속했을 땐 실행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그렇다면 어떤 루트로 들어오든지 간에 middleware를 실행시키고 싶을 땐 어떻게 해야할까?
바로 위에서 사용한 use를 사용하면 된다.
app.use(betweenHome);
app.get('/', handleHome);
app.get('/profile', handleProfile)
이런식으로 해 두면 위에서 아래로 실행이 되면서, betweenHome에서 next()를 실행시켰다는 가정 하에 betweenHome -> next()를 거쳐 내가 원하는대로 동작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루트 처리 이전에 원하는 만큼 middleware를 배치하면 될 것이다.
next()가 비동기적으로 불린다면?
그러나 next()가 비동기적으로 불리는 시나리오를 생각해 보자.
app.use('/', (req, res, next) => {
console.log('Middleware 1')
setTimeout(() => {
next()
}, 1000)
})
app.use((req, res) => {
console.log('Middleware 2')
res.send('Hello, express!')
})
Middleware1
Middleware2
위 코드에서 1초가 지나고 난 뒤에 아래 Middleware2가 실행이 되어 종료가 될 것인데 이를 통해 미들웨어가 위에서부터 실행이 쭉쭉 아래로 이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정말 그 말이 맞는지 두 코드의 순서를 바꿔서 확인해 보면 더 명확해 질 것이다.
app.use((req, res) => {
console.log('Middleware 2')
res.send('Hello, express!')
})
app.use('/', (req, res, next) => {
console.log('Middleware 1')
setTimeout(() => {
next()
}, 1000)
})
Middleware2
이 코드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첫 번째 미들웨어를 지나고 다음 미들웨어는 건들지도 않은 채 그냥 끝나버리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미들웨어는 계속해서 작성을 해도 next()로만 잘 이어지게 한다면 쭉쭉 실행이 되게도 할 수 ㅣ있다.
app.use(
'/',
(req, res, next) => {
console.log('Middleware 1-1')
setTimeout(() => {
next()
}, 1000)
},
(req, res, next) => {
console.log('Middleware 1-2')
next()
})
app.use((req, res) => {
console.log('Middleware 2')
res.send('Hello, express!')
})
Middleware1-1
Middleware1-2
Middleware2
다음 middleware로 객체 전달
미들웨어를 통해 앞선 함수에서 실행된 결과를 뒷쪽 미들웨어로 넘겨주는 경우가 많을 것인데 이를 처리하는 logic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 @ts-check
/* eslint-disable no-console */
const express = require('express')
const app = express()
const PORT = 5000
app.use('/', (req, res, next) => {
console.log('Middleware 1')
const requestedAt = new Date()
// @ts-ignore
req.requestedAt = requestedAt
next()
})
app.use((req, res) => {
console.log('Middleware 2')
// @ts-ignore
res.send(`Hello, express!: Requested at ${req.requestedAt}`)
})
app.listen(PORT, () => {
console.log(`The Express server is listening at port: ${PORT}`)
})
위 코드에서 보면 알겠지만 req.객체이름
와 같이 사용하고 이를 통해 앞쪽 미들웨어의 정보를 저장하고 다음 미들웨어에서 이를 꺼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는 매우 유용하기 때문에 잘 알아두어야 하는 부분이다.
// @ts-ignore
는request 객체에 원래는 없던 값을 지금 임의로 정의를 하려다 보니까 typescript 에러가 나게 되는데 현재는 연습으로 하고 있는 것이라 무엇을 하려는 지 분명히 알고 있기 때문에 무시를 하기 위해 작성한 것이다.
async middleware
다음은 async 미들웨어를 사용하는 방식이다.
// @ts-check
/* eslint-disable no-console */
const express = require('express')
const fs = require('fs')
const app = express()
const PORT = 5000
app.use('/', async (req, res, next) => {
console.log('Middleware 1')
const fileContent = await fs.promises.readFile('.gitignore')
const requestedAt = new Date()
// @ts-ignore
req.requestedAt = requestedAt
// @ts-ignore
req.fileContent = fileContent
next()
})
app.use((req, res) => {
console.log('Middleware 2')
// @ts-ignore
res.send(`Requested at ${req.requestedAt}, ${req.fileContent}`)
})
app.listen(PORT, () => {
console.log(`The Express server is listening at port: ${PORT}`)
})
Requested at Mon Jul 04 2022 01:25:11 GMT+0900 (대한민국 표준시), node_modules
.env
async 미들웨어를 통해 promises 객체를 await으로 받아올 수 있는 것도 확인 할 수 있다.
댓글남기기